국방수권법에 따른 안보 검토 지연과 세관의 수입 통제로 재고 부족 심화, 소비자 혼란 가중
미국 드론 시장의 1위 기업인 중국 DJI의 제품이 사실상 미국 시장에서 퇴출될 위기에 처했다. 공식적인 판매 금지 조치는 아직 내려지지 않았지만, 연말까지 국가 안보 검토가 완료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판매가 금지될 수 있어 사용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현재 DJI 공식 웹사이트와 주요 소매점에서는 대부분의 드론 제품이 ‘재고 없음’으로 표시되는 등 공급난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번 사태의 핵심은 2024년 12월에 통과된 2025 회계연도 국방수권법(NDAA)에 있다. 이 법안은 중국산 드론에 대해 12월 23일까지 국가 안보 위험 평가를 의무화하고 있다. 만약 미 정부가 기한 내에 검토를 마치지 못하면, DJI 드론은 2025년 말부터 미국 내 판매가 자동으로 금지된다. DJI 측은 국토안보부에 공식적인 운영 감사를 요청하며 협조 의사를 밝혔으나, 7월 중순까지도 검토 절차가 시작되었다는 어떠한 통보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DJI는 자사 제품의 안전성을 확신한다면서도, 촉박한 일정이나 정치적 동기로 인해 판매가 금지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이러한 법적 절차와는 별개로, DJI는 이미 ‘비공식적인 금지’에 직면한 것으로 보인다. 회사는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이 상당수 드론의 미국 반입을 막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로 인해 수입에 심각한 차질을 빚고 있다고 인정했다. 이 여파로 소매점의 재고는 빠르게 소진되고 있으며, 일부 제3자 리셀러들은 가격을 올려 판매하며 이익을 챙기고 있다. 현재 아마존 등에서는 일부 인기 모델을 구할 수 있지만, 대부분 공식 판매처가 아닌 리셀러를 통해서만 구매가 가능한 실정이다.
중국산 기술에 대한 데이터 보안 우려는 2017년부터 제기되어 왔으며,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2020년 미 상무부는 DJI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며 제재를 공식화한 바 있다. 현재의 공급난과 판매 금지 위협은 이러한 미중 기술 갈등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아마존에서는 DJI 제품과 거의 동일한 성능과 디자인을 가진 ‘스카이로버 X1(Skyrover X1)’이라는 드론이 판매되고 있어, DJI가 미국 시장을 겨냥한 ‘플랜 B’를 가동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