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 C
New Jersey

뉴저지 주지사 선거 초박빙

Must read

셰릴-치아타렐리 후보 오차범위 내 접전 속, 양측 모두 한인 사회 공략엔 소극적… 재산세·교육·소상공인 정책이 최대 쟁점

2025년 뉴저지 주지사 선거가 민주당의 일방적인 우세에서 누구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초박빙 승부로 바뀌면서, 10만 명이 넘는 한인 유권자들의 영향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민주당의 마이키 셰릴(Mikie Sherrill) 후보와 공화당의 잭 치아타렐리(Jack Ciattarelli) 후보가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이는 가운데, 버겐 카운티의 포트리(Fort Lee)와 팰리세이즈 파크(Palisades Park)에 집중된 한인 사회의 표심이 선거의 향방을 가를 ‘캐스팅보트’로 부상하고 있다.
선거 지형은 셰릴 후보가 20%포인트 차로 앞서던 지난 6월 이후 급변했다. 내셔널 리서치(National Research Inc.)의 9월 여론조사에 따르면 셰릴 후보가 47%, 치아타렐리 후보가 45%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사실상 동률을 이뤘다. 2021년 선거에서 필 머피(Phil Murphy) 현 주지사에게 3.2%포인트 차로 석패했던 치아타렐리 후보는 재산세와 생활비 문제 등 지역 현안을 집중적으로 파고들며 지지세를 확장했다. 이는 주택 가격과 세금 부담이 높은 버겐 카운티 유권자들에게 큰 공감대를 형성하는 전략이다.
두 후보는 뉴저지의 미래에 대해 극명하게 다른 비전을 제시한다. 전직 해군 헬리콥터 조종사이자 현 연방 하원의원인 셰릴 후보는 주택 개발, 지방자치단체 통합, 불법체류자 보호 정책 유지를 골자로 한 Affordability Agenda’를 내세웠다. 또한, 주 교육 과정에 아시아태평양계(AAPI) 역사 교육을 의무화한 조치를 지지하며, AAPI 증오 범죄를 신속히 기소할 법무장관을 임명하겠다고 약속했다. 반면, 치아타렐리 후보는 주정부 지출 30% 삭감을 통한 재산세 절반 인하, 불법체류자 보호 정책 즉각 폐지, 그리고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프로그램 폐지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특히 소상공인 소득 첫 10만 달러에 대한 면세 공약은 자영업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다.
교육 문제에서도 두 후보의 입장은 엇갈린다. 아시아계 학생 비율이 약 50%에 달하는 명문 특목고 버겐 카운티 아카데미(Bergen County Academies)의 성적 기반 입학 제도는 뜨거운 감자다. 셰릴 후보는 AAPI 역사 교육 의무화를 지지하는 반면, 치아타렐리 후보는 이를 ‘나이에 맞지 않는’ 교육 과정이라 비판하며 DEI 프로그램 폐지를 공언해 경쟁적인 학업 환경 유지를 중시하는 학부모들의 표심을 자극하고 있다.
소상공인 규제 역시 오랜 골칫거리다. 뉴저지 주법이 소주를 와인이 아닌 증류주로 분류해 BYOB(Bring Your Own Bottle) 식당에서의 판매를 막는 문제, 일요일 영업을 제한하는 버겐 카운티의 ‘블루 로(blue laws)’, 한글 간판에 동일한 크기의 영문 표기를 의무화하는 규정 등이 대표적이다. 두 후보 모두 규제 완화를 약속했지만, 접근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 Advertisement -spot_img

More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 Advertisement -spot_img

Latest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