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 C
New Jersey

머피 주지사의 ‘해상풍력 올인’ 정책, 임기 말 시험대 올라

Must read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 좌초와 발전소 폐쇄로 전력난 우려 속, 차기 주지사 후보들은 현 정책 비판하며 전기요금 동결 등 공약 내세워

필 머피(Phil Murphy) 뉴저지 주지사의 임기가 막바지에 이르면서, 그의 야심 찬 재생에너지 정책이 엇갈린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주력으로 내세웠던 해상풍력 발전 사업이 사실상 좌초되면서 전력 공급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이는 차기 주지사 선거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
머피 주지사는 임기 초 뉴저지의 에너지를 2035년까지 100% 청정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그러나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 계획이 무산되고 일부 기존 발전소가 폐쇄되면서, 주 내 발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러 주에 전력을 공급하는 광역 전력망 PJM(PJM Interconnection)에 보내는 전력은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낳았다. 비평가들은 머피 주지사가 해상풍력에 ‘모든 것을 걸었다’가 실패했으며, 뚜렷한 ‘플랜 B’가 없었다고 지적한다. 뉴저지 시에라 클럽의 전 국장인 제프 티텔(Jeff Tittel)은 “머피 주지사는 화려하게 발표만 했을 뿐, 실질적인 후속 조치가 부족했다”고 비판했다.
2018년 시작된 해상풍력 사업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공급망 문제와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등이 겹치면서 비용이 급증했다. 결국 사업자로 선정됐던 덴마크 기업 오스테드(Ørsted)는 2023년 사업을 철회했고, 셸 뉴에너지(Shell New Energies) 역시 올해 초 사업에서 손을 뗐다. 머피 행정부는 풍력 에너지에만 치중했다는 비판에 동의하지 않는다. 행정부 관계자는 다른 주들도 비슷한 요금 인상을 겪고 있다며, 뉴저지의 해상풍력 집중이 현재의 문제로 이어졌다는 데이터는 없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머피 주지사 재임 기간 동안 뉴저지가 PJM 전력망에 공급하는 전력량은 약 1,500메가와트 순감소했다. 화석연료 발전소와 오이스터 크릭(Oyster Creek) 원자력 발전소 등이 폐쇄된 영향이 컸다. 일부 발전소 폐쇄는 전임 크리스 크리스티 행정부에서 결정된 사안이지만, 대체 발전소 확보 없이 기존 시설을 폐쇄한 것이 전력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튼홀 대학교의 맷 헤일(Matt Hale) 교수는 “최악의 에너지원인 석탄을 퇴출하되, 과도기적으로 천연가스 발전으로 전환하는 ‘플랜 B’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태양광 발전은 머피 행정부 하에서 크게 확장됐다. 하지만 대부분이 주택 지붕이나 커뮤니티 솔라 등 전력망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 ‘비계량(behind-the-meter)’ 방식으로 설치되어, 전력망 전체의 가격 안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치솟는 전기요금은 공화당의 잭 시아타렐리(Jack Ciattarelli) 후보와 민주당의 마이키 셰릴(Mikie Sherrill) 후보 등 차기 주자들에게 좋은 공격 소재가 되고 있다. 셰릴 후보는 당선 시 1년간 전기요금을 동결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시아타렐리 후보는 해상풍력 발전 금지와 에너지원 다각화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 Advertisement -spot_img

More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 Advertisement -spot_img

Latest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