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 C
New Jersey

SNAP 수혜자 노리는 신종 사기 기승, 주 검찰 ‘각별한 주의’ 당부

Must read

정부기관 사칭해 EBT 카드 정보 요구… ‘개인정보 절대 제공 말아야’

뉴저지 주 검찰총장이 정부 셧다운과 같은 사회적 불안감을 악용해 저소득층 식비 지원 프로그램(SNAP) 수혜자들을 노리는 사기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주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개인정보와 금전을 탈취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매튜 플랫킨(Matthew Platkin) 검찰총장은 최근 소비자보호국과 함께 발표한 성명에서 “많은 이들이 식료품 구매에 어려움을 겪는 이웃을 도우려 할 때, 사기꾼들은 바로 이 상황을 자신들의 금전적 이득을 위해 악용하는 교활한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사기범들은 주로 SNAP이나 다른 정부 기관 담당자를 사칭해 무작위로 전화나 문자 메시지를 보낸다. 이들은 ‘EBT 카드의 잠금이 해제되어야 한다’, ‘수혜 자격을 재확인해야 한다’ 또는 ‘특별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등의 거짓말로 수혜자들을 현혹한다. 이후 EBT 카드 번호와 개인식별번호(PIN)를 요구하는 것이 전형적인 수법이다. 심지어 사회보장번호(SSN)나 은행 계좌 정보와 같은 민감한 금융 정보를 묻거나, 도움을 주는 대가로 수수료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검찰총장실은 이러한 행위가 모두 SNAP 혜택이나 개인정보를 훔치기 위한 명백한 사기라고 못 박았다. 특히 어떤 정부 기관도 사전에 요청하지 않은 연락을 통해 전화나 문자로 개인정보를 묻는 일은 결코 없으며, SNAP 관련 정부 지원은 항상 무료로 제공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필 머피(Phil Murphy) 주지사에 따르면 현재 뉴저지에서는 80만 명 이상의 주민이 SNAP 혜택에 의존하고 있어 사기 범죄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머피 주지사는 “모든 SNAP 수혜자들이 잠재적인 사기를 인지하고, 오직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 제공하는 정보와 자원만을 이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소비자보호국은 피해 예방을 위해 몇 가지 핵심 수칙을 제시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EBT 카드 번호, PIN, 사회보장번호 등 개인정보를 절대 모르는 사람이나 신뢰할 수 없는 이에게 공유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혜택 신청을 도와주겠다거나 현금화를 알선하겠다며 접근하는 낯선 사람은 사기꾼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경계해야 한다. 의심스러운 전화나 문자를 받으면 절대 회신하지 말고, 정보 요청의 진위가 의심될 경우엔 반드시 거주 지역의 카운티 사회복지기관에 직접 연락해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다. 아울러 정기적으로 EBT 계좌의 거래 내역을 확인해 무단 인출이 없는지 살피고, 의심스러운 거래가 발견되면 즉시 PIN을 변경 후 관계 기관에 신고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매달 혜택이 지급되기 직전에 PIN을 변경하는 등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바꾸는 것이 보안 강화에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 Advertisement -spot_img

More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 Advertisement -spot_img

Latest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