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기지 첫 목격부터 백악관 해명까지, 주민 불안과 억측 낳았던 미확인 비행체 논란을 되짚다
뉴저지 북부 상공에 정체불명의 드론이 출현하며 미 전역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드론 소동’이 벌써 1년을 맞았다. 수많은 추측과 음모론을 낳았던 이 사건은 여전히 많은 의문점을 남긴 채 기억되고 있다. 모든 것의 시작은 2024년 11월 13일, 모리스 카운티(Morris County)에 위치한 미군 연구 시설인 피카티니 조병창(Picatinny Arsenal)에서 ‘비정상적인 드론 활동’이 처음 보고되면서부터였다.
며칠 뒤 카운티 당국은 목격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대중에게 알려진 위협은 없다고 밝혔지만, 소문은 걷잡을 수 없이 퍼져나갔다. 소셜 미디어에는 밤하늘을 밝히는 미스터리한 불빛들의 사진과 영상이 빠르게 공유되었고, 주민들의 불안감은 커져만 갔다. 이에 지역, 주, 연방 정부 관계자들은 진상 규명을 요구하며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11월 18일, 모리스 카운티 검찰청은 경찰관들이 순찰 중 드론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목격했다고 공식 확인했으며, 11월 26일에는 연방수사국(FBI)까지 조사에 합류하며 사태의 심각성을 더했다.
사태가 확산되자 정치권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12월 5일, 필 머피(Phil Murphy) 주지사는 국토안보부 장관과 긴급 브리핑을 가졌다고 밝혔으며, 주 상하원 의원들은 주지사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대중의 우려를 해소하고 당국이 파악한 정보를 공유하라고 강력히 촉구했다. 존 디마이오(John DiMaio)와 에릭 피터슨(Erik Peterson) 하원의원은 서한에서 “FBI, 연방항공청(FAA), 국토안보부 같은 기관들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모른다는 것은 믿기 어렵다”며 투명한 정보 공개를 압박했다.
하지만 책임 있는 답변은 나오지 않았다. 12월 10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의회 청문회에 출석한 FBI 관계자는 드론의 배후를 특정하지 못했으며, 대중 안전에 위협이 되는지에 대한 질문에도 “그렇게 말할 근거는 없지만, 우리는 알지 못한다. 그것이 우려스러운 부분”이라며 모호한 답변을 내놓았다. 이틀 뒤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 존 커비(John Kirby)는 국가 안보나 공공 안전에 위협이 된다는 증거는 없으며, 목격된 것 중 다수는 합법적으로 운항하는 유인 항공기로 보인다고 발표하며 진화에 나섰다.
몇 달간 이어진 혼란은 2025년 1월 28일, 새로 출범한 행정부의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Karoline Leavitt)의 발표로 일단락되었다. 그는 “뉴저지 상공을 비행한 드론들은 연방항공청(FAA)이 연구 및 기타 다양한 이유로 승인한 것들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 중 다수는 드론 비행을 즐기는 취미 활동가나 개인들이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호기심 때문에 상황이 더 악화된 것일 뿐, 적의 소행은 아니었다”고 덧붙이며 길었던 미스터리에 종지부를 찍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