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 C
New Jersey

한국계 전 미 외교관 모스 탄, ‘선거 부정’ 주장하며 방한…논란의 중심에 서다

Must read

윤 전 대통령 면회 불발, 이재명 대통령 명예훼손 혐의 피소 등 방한 내내 파문

한국계 미국인 전직 외교관 모스 탄(Morse Tan)이 한국을 방문해 선거 부정 음모론을 지지하고 구속 수감 중인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면회를 시도하는 등 연일 논란의 중심에 서고 있다. 탄 전 대사는 지난 월요일 서울에 도착했으며, 수요일에는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그를 만날 예정이었다. 윤 전 대통령은 작년 12월 3일 계엄령 선포와 관련된 내란 혐의로 특별검사팀의 조사를 받으며 지난주 재수감된 상태다. 그러나 특검팀이 형사 피의자에 대한 표준 절차를 이유로 가족과 법률 대리인을 제외한 모든 방문을 금지하면서 면회는 전격 취소되었다.
탄 전 대사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무부 고위직인 국제형사사법 대사를 역임했으며, 지난 6월 3일 대선을 포함한 한국의 최근 선거가 중국의 개입으로 조작되었다는 주장을 펼쳐온 인물이다. 한국 법원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러한 의혹을 거듭 기각했지만, 극우 단체를 중심으로 루머는 계속 확산되고 있다. 그는 현재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 이번 조사는 서울의 한 보수 시민단체가 지난 6월 26일 워싱턴에서 열린 공개 행사에서 탄 전 대사가 이 대통령에 대해 허위 사실을 유포했다며 고발한 데 따른 것이다. 당시 탄 전 대사는 이 대통령이 청소년 시절 성폭행과 살인에 연루되어 소년원에 수감되었고, 이 때문에 중고등학교에 진학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공직선거 후보자 시절 이 대통령이 제출한 공식 자료와 명백히 배치되는 내용이다. 자료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무고, 공무원 사칭, 음주운전 등으로 벌금형을 받은 전력은 있으나 성폭력이나 기타 폭력 범죄 기록은 없다.
그의 방한 일정은 논란으로 인해 곳곳에서 차질을 빚었다. 보수단체 ‘진실포럼’ 주최로 화요일 저녁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열릴 예정이던 강연은 대학 측이 막판에 장소 사용 허가를 철회하며 무산됐다. 그는 대신 교문 근처에서 연설하며 윤 전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를 “북한과 중국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합법적 조치”라고 옹호했다. 이에 일부 대학생들은 행사장 근처에 모여 허위 사실 유포와 내정간섭을 비판하며 대학 측의 공식 사과와 출입국 당국의 재입국 금지를 촉구했다. 주한미국대사관 측은 탄 전 대사가 영사 지원을 받고 있는지에 대한 질의에 “미국 시민은 방문하는 외국의 법률을 따라야 한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히며,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

- Advertisement -spot_img

More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 Advertisement -spot_img

Latest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