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 C
New Jersey

포트리 빅토리아 리 총격 사망, ‘불기소’ 결정에 한인사회 분노…’정의’ 촉구 시위

Must read

민권센터 등 한인·아시안 단체, 포트리서 집회 열고 경찰 내부 징계 및 정신건강 위기 대응 시스템 구축 강력 촉구

지난 7월 19일 토요일, 뉴저지 포트리에서 ‘빅토리아 리에게 정의를(Justice for Victoria Lee)’을 외치는 한인 및 아시안 커뮤니티의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이날 열린 집회와 행진은 지난해 정신질환 위기 상황에서 포트리 경찰의 총격으로 사망한 26세 한인 여성 빅토리아 리 사건과 관련, 최근 대배심이 총격을 가한 경관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린 것에 강력히 항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민권센터와 뉴저지 AAPI 연합(AAPI NJ)을 비롯한 여러 시민 단체들이 주도한 이날 행사에는 수백 명의 지역 주민들이 참여해 고인의 비극적인 죽음을 애도하고 사법 시스템의 책임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정의 없이는 평화도 없다’, ‘정신 건강은 범죄가 아니다’ 등의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포트리 시청 주변 도로를 행진하며 공동체의 연대를 과시했다. 이번 불기소 결정은 형사적 책임을 묻기 어렵다는 사법적 판단일 뿐, 경찰의 대응이 적절했는가에 대한 도덕적, 행정적 책임까지 면제해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시위대의 공통된 인식이다.
시위대는 포트리 타운 정부를 향해 두 가지 핵심 사항을 강력히 요구했다. 첫째, 대배심의 결정과 무관하게 시 정부 차원에서 해당 경관에 대한 즉각적이고 투명한 내부 징계 절차를 개시하라는 것이다. 이들은 경찰의 과잉 진압과 부적절한 대응에 대한 행정적 책임을 반드시 물어 재발 방지를 위한 선례를 남겨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둘째, 포트리와 버겐 카운티 전역에 실질적인 정신건강 위기 대응 시스템을 시급히 구축하라는 요구다. 이는 경찰이 아닌 정신건강 전문가가 위기 상황에 우선적으로 개입하거나 경찰과 동행 출동하는 ‘위기 대응팀’ 모델을 도입하여, 빅토리아 리와 같은 비극의 재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다.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주민들이 처벌의 대상이 아닌 보호와 치료의 대상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를 위해선 전문 인력과 예산이 뒷받침된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민권센터 측은 성명을 통해 “빅토리아의 가족을 비롯한 모든 경찰 폭력 피해자들의 곁을 지키며 정의가 실현될 때까지 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단순한 항의를 넘어 책임 있는 제도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지역 사회와 함께 땀 흘릴 것을 다짐한다”고 밝혔다. 이번 집회는 한인 사회가 지역 사회의 주요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구조적 변화를 요구하는 중요한 정치적 주체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 Advertisement -spot_img

More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 Advertisement -spot_img

Latest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