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 C
New Jersey

여름철 에어컨 자세히 점검하기 (실내기 편)

Must read

무덥고 습한 여름철,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해 주는, 기후변화와 더불어 없어서는 안 되는 여름철 필수품 에어컨. 그렇지만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가장 더운 날 고장나거나 건강을 해치는 세균 덩어리가 되는 무서운 녀석을 어떻게 유지·관리해야 하는지 대표적인 가정용 분리형 에어컨 시스템을 기준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에어컨의 기능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실내의 공기로부터 열을 수집하여 실외(건물 바깥)로 배출해 주는 시스템”으로 간단히 기술할 수 있겠습니다. 이 문장을 기준으로 에어컨 시스템이 갖추는 장치로는 실내기(증발기 및 공기순환 모터 & 송풍팬), 실외기(응축기 및 팬모터), 그리고 이 두 개의 장치를 연결해 열의 이동을 돕는 냉매 및 냉매순환 장치(압축기: 실외기 내부에 장착)로 구성될 것입니다.

1. 실내기
실내기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며 냉각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입니다. 세균과 곰팡이가 발생한 에어컨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하며, 특히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폐 질환이 여름철에 급증한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본격적인 에어컨 사용 전 철저한 점검과 청소가 필수입니다.

2. 필터 청소
에어컨 청소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필터 청소인데요. 필터는 에어컨이 작동할 때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특히 먼지와 세균이 많습니다.

필터 청소는 2주에 한 번씩 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먼저 에어컨 전원을 끄고 전원 코드를 뽑은 후, 전면 패널을 열어 필터를 조심스럽게 분리합니다. 청소기로 먼지를 1차 제거한 후, 오염이 심한 경우 중성세제를 풀어 세척 후 충분히 헹구어 주세요. 단, 40도 이상 뜨거운 물은 사용하지 마시고,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진 곳에서 완전히 말려주세요.

3. 냉각핀(열교환기) 관리
필터 뒤쪽에 촘촘하게 배열된 알루미늄 냉각핀은 실제 공기를 냉각시키는 핵심 부품입니다. 이 냉각핀에 먼지가 쌓이게 되면 에어컨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데요. 에어컨의 주기능인 냉방이 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렇게 되면 전기세도 더 많이 나오게 됩니다.

냉각핀은 분리하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합니다. 베이킹소다나 식초를 물과 1:10 비율로 섞어 분무기로 소량 뿌린 후 5~10분 정도 기다렸다가 부드러운 솔로 가볍게 닦아냅니다. 단, 시중에 판매 중인 에어컨 세정제, 세정액, 향이 있는 탈취제 등 사용은 삼가 바랍니다. 제품 손상 또는 냄새를 더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4. 송풍팬 점검
송풍팬은 차가운 공기를 실내로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송풍팬에 먼지가 쌓이면 풍량이 줄어들고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인이 송풍팬을 완전히 분해하여 청소하기는 어려우므로, 접근 가능한 부분만 부드러운 솔이나 면봉으로 조심스럽게 청소합니다.

간혹 송풍팬에서 덜컹거리는 소리나 이상한 소음이 발생한다면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전문 서비스를 받아야 합니다. 억지로 작동시킬 경우 모터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5. 자동 청소 기능 활용
가장 중요한 것은 ‘건조’입니다. 에어컨 사용 후 전원을 끄기 전 ‘송풍’ 기능이나 ‘자동청소건조’ 기능을 사용해 에어컨 내부에 맺힌 습기를 건조해 주세요. 송풍 기능은 최소 10분 정도 지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신 에어컨의 경우 스마트 냉방세척 기능이 있어 자동으로 에어컨 내부를 얼리고 녹이는 과정을 반복해 먼지와 냄새를 제거합니다. 이런 기능이 있다면 한 달에 한 번씩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 배수관 확인
에어컨 작동 시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됩니다. 배수관이 막히면 물이 역류하여 실내기에서 물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배수관 출구를 확인하고, 이물질이 있다면 제거해야 합니다.

특히 장마철에는 배수관에 곰팡이가 생기기 쉬우므로, 한 달에 한 번 정도 베이킹소다 용액을 배수관에 부어 청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외관 청소
청소용 극세사 융 등에 소독용 에탄올을 묻혀 얼룩을 지운 후 제품을 닦아주세요. 단, 유광 디자인의 제품 표면에는 에탄올 사용이 변색의 원인이 되므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바람 방향 조절 날개(루버)도 정기적으로 청소해야 합니다. 물티슈로 먼지를 제거한 후 마른 천으로 닦아 마무리합니다.

8. 전문 청소 시기
셀프 청소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일반인이 분무기와 칫솔로 청소를 시작할 수는 있지만, 완벽한 청소는 불가능합니다. 1년에 한 번은 전문업체의 분해 청소 서비스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즉시 전문 서비스를 받아야 합니다:
– 에어컨에서 곰팡이 냄새나 퀴퀴한 냄새가 날 때
– 냉방 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때
– 이상한 소음이 발생할 때
– 물이 떨어지거나 새는 현상이 있을 때

여름철 건강하고 시원한 실내 환경을 위해서는 에어컨 실내기 관리가 필수입니다. 조금의 관심과 노력으로 전기료도 절약하고 가족 건강도 지킬 수 있으니,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기 전에 꼭 점검하시기 바랍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신 분들 중, 실내기 설치나 위치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아이홈 인스펙션 전화 201-359-0777로 문의 주세요. 친절하고 자세하게 상담해드립니다.

iHome Inspection
정완수 (Paul Jeong)

Tel: 201-359-0777
email: [email protected]
BestHomeInspecitonsNJ.com

- Advertisement -spot_img

More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 Advertisement -spot_img

Latest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