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셰릴 ‘주 전역 금지’ vs 공화 차타렐리 ‘지역 자율’, 교육 정책 철학 차이 뚜렷
뉴저지 주지사 선거가 다가오면서 후보들 간의 정책 대결이 심화되는 가운데, ‘학생들의 교내 휴대폰 및 소셜미디어 사용 규제’가 새로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민주당의 미키 셰릴(Mikie Sherrill) 후보와 공화당의 잭 차타렐리(Jack Ciattarelli) 후보는 문제의 심각성에는 공감하지만, 해결 방식에서 뚜렷한 시각차를 보이며 유권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퓨 리서치(Pew Research) 조사에 따르면 공립학교 교사의 3분의 1이 교실 내 휴대폰으로 인한 주의력 분산을 심각한 문제로 꼽았다. 컬럼비아 대학교 연구 역시 휴대폰과 소셜미디어가 아동의 정신 건강을 해치고 수면을 방해하며 사이버 괴롭힘과 사회적 고립을 심화시킨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우려 속에서 뉴저지에서는 수업 중 비학업적 목적의 휴대폰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주 상원을 만장일치로 통과했으나, 하원 표결을 앞두고 있다.
민주당 셰릴 후보는 주 전체에 걸친 일관된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교실에서 휴대폰을 없애면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가 훨씬 높아진다는 교육자들의 의견을 근거로, 주 차원의 금지 법안을 강력히 지지한다고 밝혔다. 또한 당선 시 럿거스 대학교의 총기 폭력 연구 센터를 모델로 한 ‘소셜미디어 연구 센터’ 설립을 공약했다. 이 센터를 통해 연령별 적정 스크린 타임, 유해 콘텐츠 식별 등 과학적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부모 교육과 추가적인 정책 수립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반면 공화당 차타렐리 후보는 주 정부의 일괄적인 개입에 반대하며 지역 사회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그 역시 수업 중 휴대폰 사용은 제한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만, 구체적인 정책은 각 교육구와 학부모가 협력하여 결정해야 한다는 ‘상향식’ 해법을 제시했다. 그는 셰릴 후보의 방식이 학부모의 권한을 침해하는 하향식 규제라고 비판하며, 학생들을 위한 최선의 정책은 학부모와 교육구가 긴밀한 파트너십을 통해 만들어질 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 문제는 단순히 휴대폰 사용을 넘어 학생들의 정신 건강과 직결된다. 셰릴 후보는 ‘아동 온라인 안전’ 계획을 발표하며 연방 차원의 관련 법안 통과를 촉구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인다. 차타렐리 후보는 서머셋 카운티(Somerset County) 위원 시절 지역 정신 건강 센터 건립을 지원했던 경험을 내세우며, 주 내 모든 카운티에 유사한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재산세나 전기세만큼 폭발적인 쟁점은 아니지만, 자녀 교육과 안전에 대한 유권자들의 높은 관심을 고려할 때 두 후보의 상반된 접근법은 선거 막판 표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