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비용 비상사태를 예고한 마이키 셰릴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요금 안정과 장기적 전력 공급 해법 모색에 나설 전망이다.
뉴저지 유권자들이 민주당의 마이키 셰릴(Mikie Sherrill)을 차기 주지사로 선출한 가운데, 주 최대 전력 공급업체인 PSEG(Public Service Enterprise Group)가 새 행정부와 전기요금 안정을 위해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혀 주목된다. 셰릴 당선인은 선거 기간 동안 취임 첫날 에너지 비용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공공요금을 동결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PSEG의 랠프 라로사(Ralph LaRossa) 회장 겸 CEO는 선거 직전 열린 분석가들과의 통화에서 “새로 출범할 행정부와 협력하여 단기적으로는 요금을 최대한 낮게 유지하고, 장기적으로는 주 내 전력 공급을 늘리기 위한 해결책을 모색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PSEG는 최근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한 6억 2,000만 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견조한 재무 상태를 과시했다.
셰릴 당선인은 요금 동결 외에도 청정에너지 발전 시설을 대규모로 건설하고, PSEG의 자회사인 PSE&G 및 전력망 운영 기관 PJM 인터커넥션(PJM Interconnection)의 투명성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녀는 “엄청난 전력 부족으로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며 “뉴저지의 에너지 지형을 바꿔 더 저렴하고 깨끗한 에너지를 생산해 주민들의 부담을 덜겠다”고 강조했다. 투자은행 제프리스(Jefferies)의 분석가들은 PSEG 경영진이 비용 회수 기간 연장과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고객 요금 부담을 완화하는 ‘요금 양보’를 제안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PSE&G의 전기요금이 뉴저지에서 가장 높으며, 작년 여름 임시 요금 크레딧을 제외하고 전년 대비 약 36%나 급등했다고 지적했다.
현재 뉴저지 법규는 PSE&G와 같은 유틸리티 회사가 발전소를 직접 소유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전력의 40%를 외부에서 수입하는 뉴저지의 현실과 PJM 전력망 전반의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면서 변화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라로사 CEO는 유틸리티의 발전소 소유를 허용하는 법안(S4306, A5439)이 주의회에 상정된 상태라며, “주 내 신규 발전을 추진하기로 결정한다면 공급 경쟁을 촉진할 법안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PSEG는 법안이 통과될 경우, 과거 유휴지나 매립지에 대규모 태양광 단지를 건설했던 경험을 살려 태양광 발전을 확대하고, 규제 하에 에너지 저장 장치(ESS) 사업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동시에 데이터 센터의 폭발적인 전력 수요 증가도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